시계를 사려고 검색하다 보면 ‘오토매틱’, ‘쿼츠’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이게 무슨 의미인지, 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굉장히 혼란스러울 수 있어요.
단순히 마음에 드는 시계를 고르려던 마음이, 어느새 복잡한 기계 구조와 가격, 유지 방식까지 고민하게 되죠.

이 글에서는 시계의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인 오토매틱(자동 기계식)과 쿼츠(전자식) 시계의 작동 원리, 특징, 장단점, 관리 방법, 가격대까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시계를 구매하시기 이전에 이 포스팅을 읽으신 후에 고민하시면 조금 더 선택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1. 오토매틱 방식 시계란? (AutoMatic Watch)

-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나요?
오토매틱 시계는 기계식 시계의 한 종류로, 배터리가 필요 없습니다. 시계 내부에 있는 회전추(로터)가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며, 그 에너지로 스프링을 감아 시간을 작동시킵니다.
흔히 셀프 와인딩(Self-Winding) 방식이라고 하죠.
따라서, 시계가 대체로 가격이 비싸며 시계 브랜드의 기술력의 집약체로 평가될 만큼 가치가 높다는게 특징입니다.
- 오토매틱 방식의 장점은?
오토매틱 방식 시계의 경우에는 내부의 로터가 보이도록 설계하여 제작이 가능하기 합니다.
예를 들면, 해밀턴사의 재즈마스터 오픈하트 제품과 같이 로터가 돌아가는 모습이 직접적으로 보이도록 제작하기도 하며, 보이지 않게 내부에 숨겨두기도 합니다.
오토매틱 방식의 시계 자체가 기술력이 높아야 제작이 가능한 제품인 만큼 가치가 높기 때문에 이런 방식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 오토매틱 방식의 단점은?
오토매틱 방식의 단점은 간단하게 설명이 가능합니다.
정확성 부족: 온도나 사용 습관에 따라 하루 몇 초 정도의 오차가 생깁니다.
정기적인 유지보수: 3~5년에 한 번은 내부 오버홀(분해 정비)이 필요합니다.
가격대가 높음: 정교한 제작과 수작업 공정으로 인해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2. 쿼츠 방식 시계란? (Quartz Watch)

-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나요?
쿼츠 시계는 배터리와 쿼츠 크리스털(수정진동자)로 작동합니다. 전기가 쿼츠 크리스털을 진동시키고, 그 진동수를 기준으로 시간을 측정합니다.
오토매틱 방식과는 달리 배터리가 장착되며 주기적으로 배터리 수명이 다하면 이를 교체해줘야 합니다.
- 쿼츠 방식 시계의 장점
탁월한 정확성: 하루 오차가 ±1초 이내로 거의 오차가 없습니다.
유지관리 간편: 주기적으로 배터리만 교체하면 됩니다.
가격 접근성: 기계식 시계보다 제작 단가가 낮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쿼츠 방식 시계의 단점
감성적 요소 부족: 내부 기계 움직임을 직접 볼 수 없고, 단순한 구조입니다.
배터리 의존: 배터리가 방전되면 작동이 멈추며, 교체가 필요합니다.
3. 오토매틱 방식 vs 쿼츠 방식 비교(차이점)

항목 | 오토매틱 시계 | 쿼츠 시계 |
---|---|---|
정확성 | 하루 몇 초 오차 | 하루 ±1초 이내 |
유지보수 | 3~5년마다 오버홀 필요 | 배터리 교체만 필요 |
수명 | 반영구적 (정비 시) | 배터리 수명에 따라 다름 |
가격대 | 고가 (수작업, 기계 정밀성 반영) | 저렴~중고가 (브랜드에 따라 다름) |
감성 / 예술성 | 매우 높음 | 낮음, 실용성 중심 |
따라서, 용도에 따라 만약 정확한 오차없는 시간 확인과 관리성이 편리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무조건 쿼츠 시계를 구매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소장 용도나 시계 자체의 매커니즘을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들에게는 쿼츠 시계는 단순히 전자시계로 인식이 되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분들은 오토매틱 시계를 구매하셔서 소장하시면 만족스러우실 것이라 예상됩니다.
4. (오토매틱, 쿼츠)방식 별 시계 관리 방법은?

- 오토매틱 방식 시계 관리 방법
오버홀 주기 : 최소 3~5년마다 전문점에서 점검 및 윤활을 진행해주세요.
보관 시에는 와인더 사용 : 오토매틱 방식은 장기간 움직임이 없다면 시계가 멈추기 때문에 움직임을 주는 와인더를 구매하셔서 내부 기어의 움직임을 유지 시켜주시길 바랍니다.
충격 및 자기장을 피해주세요 : 오토매틱 방식은 충격이나 자기장에 민감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 쿼츠 방식 시계 방법
배터리 교체 주기 : 보통 2 ~ 3년마다 교체해주시면 됩니다.
쿼츠 시계는 동작 방식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오토매틱 제품과 똑같이 수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구매 후 장시간이 지났다면 상태를 봐서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5. 방식에 따른 가격 차이는?
단순히 기술력에만 놓고 제품 제작 가격을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오토매틱 시계가 비쌉니다.
하지만, 명품 브랜드의 경우에는 방식의 차이에 상관없이 그 자체만으로 가격이 비싼 경우도 있기 때문에 참고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시계는 방식에 따른 가격 차이도 존재하지만 제품의 제작 의미가 가장 중요합니다.
- 오토매틱 시계의 가격
오토매틱 방식의 시계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 이상까지 다양하며, 브랜드와 무브먼트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유명한 브랜드로는 롤렉스, 오메가, 태그호이어 등이 있습니다.
중고로도 인기가 많고, 일부 모델은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상승해 투자 상품으로도 여겨집니다.
- 쿼츠 시계의 가격
쿼츠 시계는 수십만 원부터 시작하며, 기능성 위주의 디자인이 많아 실용적인 소비자에게 적합합니다.
유명한 브랜드로는 세이코, 시티즌, 카시오 등이 있습니다.
특히 유지비가 적고 실용적이라 첫 시계로 추천하기 좋습니다.
시계는 단순히 시간을 알려주는 도구를 넘어 의미를 담거나 감성을 담는 상품입니다.
클래식한 아름다움과 기계미를 느끼고 싶다면 오토매틱, 실용성과 정확성을 원한다면 쿼츠가 정답입니다.
여러분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방식을 나누고 상품을 검색하시면 조금 더 수월하게 구매가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